🧠 헤데라 공동창립자 리먼 베어드 박사와 맨스 하먼이 설명하는 설계에 의한 탈중앙화!
🧩 설계에 의한 탈중앙화
저자: 해데라 공동창립자 리먼 베어드 (이문배) 박사 & 맨스 하먼 (하만수)
현재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며, 이것이 신뢰, 통제, 그리고 그들의 고유 코인이 규제 체계 내에서 증권으로 간주되어야 할지, 상품으로 간주되어야 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탈중앙화가 왜 바람직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유용한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중앙화는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DLT) 네트워크의 기초이며, 종종 오해받고 있습니다. 규제, 대중의 신뢰, 유용성은 네트워크의 영향력이 어떻게 분산되어 있고, 결정이 얼마나 투명하게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본 논문에서는 악의적 행위를 방지하고, 규제 준수를 유지하며, 대규모에서 보안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탈중앙화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델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 탈중앙화의 목적
블록체인이나 온라인 서비스가 중앙화된 단체에 의해 통제된다면, 그 단체는 언제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는 권한을 갖습니다. 또한 사용자에게 해를 끼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수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종료나 악의적 행동을 비밀리에 계획하고, 그 계획에 대한 비대칭 정보를 이용해 이익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통제가 여러 단체에 분산되어 있고, 이러한 행동이 투표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떤 단일 주체도 단독으로 이를 실행할 수 없다면, 그 시스템은 더 신뢰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피해를 줄 가능성이 낮으며, 정보 비대칭이 발생할 가능성도 적습니다. 이러한 통제의 분산을 "탈중앙화"라고 하며, 이러한 시스템 사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탈중앙화의 정의
이러한 목적에 비추어 볼 때, 가장 유용한 탈중앙화의 정의는 통제가 어떤 개인이나 회사에 부여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담합할 가능성이 낮은 여러 행위자에게 분산되어 있고, 그 분산이 투명하게 드러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술적 측면에서의 통제와 거버넌스 측면에서의 통제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시스템은 기술적 의미에서의 통제를 코드로 정의된 규칙에 따라 네트워크 참여자들 사이에 분산시킵니다. 그러나 거버넌스 관점에서 볼 때, 네트워크 코드가 어떻게 업데이트되고, 누가 그 과정을 통제하는지는 훨씬 불투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단일 행위자가 네트워크를 단독으로 종료하거나, 장부를 변경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하고 타 사용자에게 해가 되는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다면, 그 시스템은 중앙집중적입니다. 이러한 중앙화된 통제는 시스템 설계 차원에서 방지되어야 하며, 어떤 한 행위자의 선의나 법적 의무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탈중앙화는 투명해야 합니다. 단지 단일 행위자가 통제할 수 없도록 막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어떤 단일 행위자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이 검증 가능해야 합니다.
🧮 기준 설정
산업이 성숙해짐에 따라, "탈중앙화"의 기준도 높아져야 합니다. 이제 단순히 단일 실패 지점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는 투명하고, 회복력이 있으며, 장악에 저항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적극적으로 입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지 탈중앙화된 인프라뿐만 아니라 책임 있고 검증 가능한 절차도 필요합니다. 헤데라는 이러한 원칙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명확하고 책임 있는 거버넌스를 통해 탈중앙화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 헤데라의 탈중앙화 거버넌스
헤데라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또는 DLT의 탈중앙화 거버넌스의 사례입니다. 현재 헤데라 네트워크는 포춘 500대 기업, 세계 유수의 대학, 주요 웹3 기업을 포함한 30개 이상의 독립 조직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투표하며, 단일 주체가 아닌 이사회와 헤데라 네트워크를 함께 관리합니다. 이들은 모두 잘 알려져 있고, 보호해야 할 명성이 있으며, 서로 독립적입니다. 그리고 거버넌스 설계상, 모든 이사회 구성원은 항상 동등한 투표권을 가집니다. 기업들은 다양한 산업군에 속하고, 대학들은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갖고 있으며, 이들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과 다양한 국가 및 관할 구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한 통제는 이사회 구성원의 온체인 행동을 통해 행사되며, 이는 코드 업데이트, 수수료 변경, 신규 투표 구성원 및 노드 추가·제거, 재무부 이동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에 공개됩니다. 각각의 행동은 온체인 서명 (해당 거래에 찬성하는 투표를 나타냄) 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전 세계에 공개되고 영구히 변경 불가능한 방식으로 기록됩니다. 이와 같은 투표 외의 공격은 공모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공모를 실행하려면 악의적인 행위자들이 온체인 서명을 통해 악의적인 계획에 찬성하는 투표를 해야 하므로, 두 개 이상의 개체가 공모할 경우 곧바로 공개되어 이들의 평판이 손상됩니다. 따라서 이는 가능성이 낮으며, 3분의 1 이상의 공모가 이뤄질 가능성은 더욱 낮습니다. 최소 3분의 1의 공모 없이는 네트워크를 종료하거나, 불변성을 위반하거나, 이중 지불과 같은 악의적 행동을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기술적인 기능 구현을 위한 논의 (HIP, Hedera Improvement Proposals)는 GitHub에 실시간으로 게시되며, 이는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과 같은 다른 블록체인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이러한 논의는 독립적인 기관인 리눅스 재단 탈중앙 신뢰 기관(Linux Foundation
Decentralized Trust)을 통해 조율됩니다. 또한 고차원의 거버넌스 사안을 포함한 오프라인 회의록 또한 공개됩니다. 이는 다른 블록체인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일이며, 헤데라가 매우 높은 수준의 투명성과 탈중앙화 거버넌스를 갖추었음을 보여줍니다.
🖥️ 헤데라의 탈중앙화 네트워크
헤데라는 네트워크의 보다 깊은 기술적 측면도 탈중앙화했습니다. 노드(컴퓨터) 네트워크도 탈중앙화되어 있으며, 일부 이사회 구성원들이 노드를 운영하고 있지만 단일 주체가 모든 노드를 종료하거나 수정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이들은 노드가 다양한 시스템에 분산되도록 투표해 왔습니다. 이는 진정한 탈중앙화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모든 노드가 AWS 인스턴스에서만 실행되는 블록체인은 진정한 탈중앙화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단일 기업인 아마존이 이를 기술적으로 종료하거나 악성 코드를 삽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록 법적으로는 금지되어 있을 수 있지만, 물리적으로는 가능한 일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네트워크 탈중앙화를 위해서는 노드가 다양한 인프라에 분산되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노드가 익명이며 단일 행위자 (예: 북한)에 의해 운영된다면 그것도 탈중앙화가 아닙니다. 노드가 단일 행위자의 허가 없이는 참여할 수 없는 구조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채굴 풀의 다수는 익명 노드를 금지하고 KYC를 요구하며 중앙에서 허용해야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헤데라는 현재 익명 노드도 없고 중앙 허가 구조도 없습니다. 헤데라의 노드는 Decentralization Research Center의 "허가 없는 노드 (permissionless nodes)" 정의와 a16z의 정의 모두를 충족합니다. 이는 "탈중앙화-허가형 노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신규 노드는 이들 독립 조직의 온체인 투표를 통해 승인되며, 어떤 단일 행위자도 결정할 수 없습니다. 투표자는 이사회 구성원이며, 이들은 노드가 알려져 있고, 분산되어 있으며, 각각 이사회 구성원이 책임지는 노드만을 승인하기로 합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코드는 Linux Foundation Decentralized Trust 산하의 프로젝트 Hiero로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헤데라는 전체 코드베이스를 중립적 제3자 재단에 기여한 최초의 퍼블릭 레이어 1 블록체인 또는 DLT입니다. 이는 코드 개발 과정의 신뢰와 투명성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더 나아가 코드 업데이트는 이사회 구성원의 온체인 투표를 통해서만 네트워크에 구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방식은 헤데라가 구조적으로 탈중앙화되어 있으며, 투명함을 갖추었음을 보여줍니다.
🛡️ 신뢰받는 미래 설계
탈중앙화는 사용자가 블록체인과 DLT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입니다. 하드웨어와 거버넌스 모두에서 탈중앙화가 이뤄져야 하며, 이는 구조적으로, 검증 가능하게, 그리고 복원력 있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개발자는 신뢰할 수 있는 기술 위에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은 탈중앙화되고 투명하며 검증 가능한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필요로 합니다. 정책 결정자들은 책임 있는 탈중앙화를 디지털 신뢰의 핵심 요소로 인정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우리 스스로에게 이 기준을 요구할 때만, 우리는 개방되고 투명하며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세계의 미래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1] Miles Jennings, a16zCrypto, Andreeson Horowitz, Defining decentralization: It comes down to control (Februrary 13, 2025): https://a16zcrypto.com/posts/article/defining-decentralization-control/
[2] 코드 변경, 수수료 변경, 노드 추가/제거, 금고 이동, 서명자 추가/제거 등의 각 작업은 다중 서명을 요구하는 거래로 수행됩니다. 이 거래는 대다수 이사회 구성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각 승인은 각 조직이 선택한 방식(보통 3명 중 1명의 서명)을 따릅니다. 해당 거래와 서명은 여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hashscan.io
[3] 회의록: https://hedera.com/council/minutes
[4] Decentralization
Research Center 보고서 (2025년 2월): https://thedrcenter.org/wp-content/uploads/2025/02/DRC-Designing-Policy-Final.pdf
[5] Andreesen Horowitz
SEC 제출문 (2025년 3월): https://www.sec.gov/files/ctf-input-andreesen-horowitz-2025-03-13.pdf
출처: https://hedera.com/blog/decentralization-by-design
지금 소서스왑과 함께 헤데라의 미래에 참여하세요! Hello Future! https://www.saucerswap.finance/
여기서 시작하세요! https://blog.naver.com/kimchisauce_hbar/223360277135
댓글
댓글 쓰기